망묵굿은 망자를 좋은 곳으로 보내기 위해 천도하는 굿으로 다양한 서사무가와 독특한 장단이 특징인 굿이다.
망자를 좋은 곳으로 보내는 예식인 천도굿은 지방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워진다. 흔히 지노귀굿이라고 부르지만 함경도에서는 망묵굿, 망묵이, 평안도는 다리굿, 황해도는 시왕굿 또는 수왕굿, 서울은 새남굿, 영남지방은 오구굿, 호남지방은 씻김굿, 제주도는 질침굿이라고 한다.
함경도망묵굿은 현재 망실될 우려가 있는 북방의 민족무형유산이다.
6.25를 시절 함경도 출신의 무당 중 일부가 속초에 거주하며 그 명맥을 겨우 이어나갔지만 무속의식과 서사무가 등에 대한 자료는 매우 열악하고 한정적이다. 이 때문에 함경도망묵굿의 보전과 계승을 위해 망묵굿보존회가 설립되었고 무형문화유산으로 그 가치를 인정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Mangmukgut is a gut that is performed to send the dead to a good place, and is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narrative shamanic songs and unique rhythms.
Cheondo-gut, a ceremony to send the dead to a good place, is called by different names for each province.
It is commonly called Jinogui-gut, but in Hamgyeong-do, Mangmook-i, Pyeongan-do, Dari-gut, Hwanghae-do, Siwang-gut or Suwang-gut, Seoul, Ogu-gut in Yeongnam, Ssitgim-gut in Honam, and Jilchim-gut in Jeju Island.
Hamgyeongdo Mangmukgut i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northern part of korea that is currently feared to be lost.
During the Korean War, some of the shamans from Hamgyeong-do lived in Sokcho and managed to continue their reputation
Data on shamanic consciousness and narrative shamanism are very poor and limited. For this reason, the Mangmukgut Preservation Society was established to preserve and inherit Hamgyeongdo Mangmukgut and is trying to make it be recognized for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망묵굿은 망자의 혼을 저승으로 편안하게 보내기 위하여 산자들이 베푸는 마지막 통과의례로 길게는 일주일간 진행하는 큰 굿이다.
망자의 조상과 동갑 친구들을 불러 저승의 심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저승문으로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함경도 지방에서 유래되어 함경도망묵굿이란 이름으로 불려진다.
Mangmukgut is a big gut that lasts for as long as a week as the last rite of passage given by the living in order to send the soul of the dead to the afterlife comfortably .
It invites the ancestors of the dead and friends of the same age to help them go straight to the gates of the underworld without going through the judgment of the underworld
It is derived from the region of Hamgyeong-do and is called Hamgyeongdo Mangmukgut.
무속에서는 망자의 남은 한을 중화시키는 일을 중요하게 여긴다.
억울하게 죽은 영혼을 무속의례(굿)로 해소시키며 죽은 자를 통해 사회 구조의 모순을 발견한다.
망자들은 현세에 대하여 미련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제사와 추모라는 형식으로 망자를 위로하고 굿을 통하여 해원상생(解冤相生)을 도모한다.
In shamanism, it is important to neutralize the remaining resentments of the dead.
It resolves the unjustly dead soul with shamanism (gut) and discovers the contradictions of the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dead.
The dead have lingering desires for this world.
Therefore, we comfort the dead in the form of rituals and memorials and relieve one's grudge through gut.
망묵굿의 내세관은 해원상생(解冤相生)의 관념이다. 하늘에 대한 무속적 해석의 발견으로 천상계와 지상계로 인위적으로 구분하였다.
인과응보와 보은에 대한 관념으로 담고 있으며 보편적인 생명관으로 삶이란 사후세계에서 어떤 대접을 받을지 경정하는 요인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사후세계는 주로 신의 뜻에 의해 결정된다고 여겼다.
극락왕생의 내세관은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환생에 대한 관념이 뚜렷하다. 즉 사람이 죽으면 받드시 내세에 다시 태어나며 이승에서의 삶의 선과 악에 따라 사람이나 동물로 태어난다고 믿는다.
Mangmukgut's view of the afterlife is a mind that understands and harmonizes with each other.
The discovery of a shamanic interpretation of the sky artificially divided it into celestial and terrestrial worlds.
It was included as an idea of causal retribution and reward, and as a universal view of life, life was accepted as a factor that determined how it would be treated in the afterlife, and the afterlife was considered to be mainly determined by God's will.
Buddhism influenced the view of the afterlife of paradise, and there is a clear idea of reincarnation.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when a person dies, he is always reborn in the afterlife, and is born as a person or animal according to the good and evil of life in this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