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묵굿의 첫 번째 굿거리로는 모든 무격이 《부정굿》으로 시작한다. 《부정 굿》은 전국 각 지역에서 펼쳐지는 모든 굿의 시작으로 굿을 할 때는 반드 시 굿 청에 숨어들은 삿된 기운, 부정한 기운을 정화를 시킨 후 본 굿에 들어간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무는 평상복(한복)을 입은 채로 제 단 앞에 앉아 장구를 치며 부정풀이 무가를 부른다. 조무(巫) 2인도 평상 복 차림으로 주무 옆에 앉아서 놋대야와 바라를 치면서 반주 한다. 굿청에 스며든 삿된 기운을 물리쳐야만 무속의 신들이 강림하여 좌정한다. 장단은 부정굿장기로 시작하여 마친다.
두 번째 굿거리로는 《토세굿》이 공통적으로 진행되었다. 토세상을 마당 한 귀퉁이에 차려 놓고 주무 혼자 앉아서 장구를 치며 토 세굿 무가를 부른다. 굿이 끝나면 제물은 모두 거두어 마당 한구석이나 대 문 밖에 내어 놓고 막걸리를 뿌리며 축원을 한다. 장단은 '청배장기'로 시작하여 '상애짓는장기'와 '도속잡는장기'로 이어지다가 '드러치는장기'로 마친다.
《토세굿》은 집터를 지키는 터주신께 오늘 굿을 하는 목적에 대하여 제일 먼저 고하여, 오늘 굿이 큰 변고 없이 굿이 잘 끝날 수 있기를 기원함과 동시에 굿의 효험을 입게 해달라는 의식이다. 이 《토세굿》의 '토세'는 특별히 망묵굿에서만 사용하는 명칭이다. 타 지방에서는 토지신을 위로하는 의식은 별개 의식으로 진행하지만, 망묵굿에서 하나의 굿거리로 자리 잡아 두 번째로 연희되고 있다는 것은 망묵굿은 유족들의 길을 기원하는 재수굿 성격과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굿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영상자료 굿거리와 탁순동 · 이경자는 《성주굿》, 이찬엽은《청배 굿》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주굿은 선굿과 앉은굿이 함께 연행된다. 주무는 평상복(한복)에 청색치마에 남쾌자를 입고 그 위에 홍색 도포를 입 고 갓을 쓰고 성주대와 방울을 들고 무명천을 올린 성주상 앞에 서서 장구 를 치면서 <깜박데기와 모시각시>가 등장하는 성주풀이 무가를 부른다. 다 른 곁상보다 훨씬 많은 제물을 차렸다.
조무 2인은 놋대야와 바라를 치면서 반주한다. 민가에서 모시는 전통적인 가신(家神)으로 집안을 지켜주는 수호신이다. 성주신에게 오늘 굿을 알리고 집안과 가족들의 건강과 평안과 복을 기원하는 절차다. 성주굿에서는 성주 대가 등장하며, 성주대와 방울을 들고 서서 흔들면서 굿을 한다. 굿을 마치 며 전과 떡 등 제물을 고시례 한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는장기-도속잡는장기-드러치는장기로 마친다.
《성주굿》은 새 집을 지을 때 무탈하게 집이 완성되고, 그 후 삿된 기운은 물러가고 만복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이 굿거리 역시 타 지역에서는 새 집을 지을 때 스며드는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집을 지은 후 만복을 기 원하는 초복축사(招福逐邪)의 의미를 지닌 굿으로 <성주굿>이란 독립된 굿 이 존재한다. 서울굿 등 타 지방에서는 재수굿에서 연행하는 하는 것이 보 통이다. 하지만 망묵굿의 세 번째 제차로 《성주굿》이 등장하는 것은 망묵굿 이 큰 굿으로 재수굿도 겸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찬엽의 《청배굿》은 모든 신들이 굿청에 강림하여 좌정할 것을 청하는 굿이다. 이찬엽은 《성주굿》 앞에 《청배굿》을 먼저 연행하는 이유는 무속의 모든 신을 모셔와 망자를 비롯한 유족의 건강과 행운 그리고 재수를 기원 하기 위한 것으로 역시 망묵굿은 망자의 명복을 기원할 뿐만 아니라 유족 의 안영도 기원하는 굿임을 나타내고 있다. 《청배굿》 역시 타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립된 굿거리로 구성되어 있다.
객로굿은 앉은굿 형태로 주무는 평상복으로 장구 앞에 앉아 무가를 구송한다.
《객로굿》은 망자가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지 않고 집 밖에서 죽음을 당하였을 때 특별히 하는 굿으로 다른 지역의 넋올리기 또는 넋건지기와 같은 의례이다.
객로굿은 천수경(千手經)을 암송하고 망자(亡者)가 사망하게 된 경위를 서술한 후 열시왕(十大王)에게 망자의 혼이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도록 명부(冥府)의 문들을 열어 달라고 기원하면서 정토사상의 핵심 교설인 아미타불의 48가지 서원을 가리키는 사십팔대원(四十八大願)을 암송하는 굿이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기장기-도속잡기장기-드러치기장기로 마친다.
《문열이천수》의 형식은 선굿으로 주무는 흰 장삼을 입고 흰 고깔을 쓰고 본 제단 앞에 서서 바라를 치며 무가를 부른다.
망묵굿은 선굿이라 하여도 춤사위가 역동적이거나 특별한 춤사위가 없기 때문에 굿 현장의 사정과 무녀의 의도로 선굿이 아닌 앉은굿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무가는 먼저 천수경(千手經)을 암송하고 망자(亡者)가 사망하게 된 경위를 서술한 후 열시왕(十大王)에게 망자의 혼이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도록 명부(冥府)의 문들을 열어 달라고 기원하며, 정토사상의 핵심 교설인 아미 타불의 48가지 서원을 가리키는 사십팔대원(四十八大願)을 암송한다. 주무에 따라 무가 구연이 일단락되면 바라춤을 추기도 한다. 무가 구연과 바라 춤이 몇 차례 반복되면서 나타나기도 한다.
장단은 3분박 천수 장기(천수경) + 열락장기 + 엇모리형으로 마친다.
형식은 앉은굿이다. 주무가 평상복으로 장구 앞에 앉아 장구를 치고 조무가 징과 바라로 장단을 맞춘다.
망묵굿에서 망자의 저승길이 편안함을 기원할 신(神)과 유족들의 건강과 재수를 기원하며 부정한 기운을 물리고 좋은 기운을 집안으로 들일 수 있기를 신들에게 기원하는 의례로, 무속 신(神)들을 한 분 한 분 호명하여 굿청에 좌정하여 도와주실 것을 청하는 굿이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는 장기-도속잡는 장기-드러치는 장기로 마친다.
《청배굿》 역시 망자를 위한 굿이기도 하지만 유족들의 길흉화복을 기원하는 굿이기도 하다.
형식은 앉은굿이다. 주무는 평복 차림으로 본상 앞에 앉아서 가정의 안녕과 재복(財福), 자손의 창성(昌盛), 가족의 수(壽) 등 초복축사(初福逐邪)하여 집 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기원하는 굿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이경자는 평복에 붉은 쾌자를 입고 서서 장구를 세워들고 익살스러운 재담과 몸짓으로 <감천> 본풀이를 구연하였다.
<감천> 본풀이는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지성을 다하면 신이 도와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으로 효를 적극 권장(勸獎)하는 내용이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는 장기-도속잡는 장기-드러치는 장기로 마친다.
안택굿은 집안의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이는 굿으로 추수 후 시월상달에 독경(讀經)을 하는 법사(法師)가 가정의 여러 가신(神)을 위로하고 집안의 평안을 빌기 위하여 행하는 앉은굿으로 지역에 따라서 안택(安宅)은 재수굿 · 행운굿 · 성주안택 · 멩감코사 · 문전고사 · 더컹하기. 경(經)읽기 • 맥이(막이) 등으로도 불리는 재수굿이다.
《안택굿》 역시 망묵굿이 망자 천도의 의미와 유족들의 길흉화복을 기원하는 재수굿의 두 기능을 함께 가진 굿임을 보여준다.
형식은 앉은굿이다. 주무가 평상복으로 장구 앞에 앉아서 무가를 구송하고 조무들은 징과 바라를 치며 장단을 맞춘다.
사자와 함께 저승길을 가는 망자는 도중에 끊임없는 고초를 당하게 된다. 그래서 먼저 간 타성(他姓)의 망령들이 나타나 두려움과 고통 속에 힘들어 하는 망자를 명부에 무사히 갈 수 있게 위로하고 도와주는 것을 서술하는 무가를 부른다.
이 굿은 망자가 고통 없이 명부에 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굿거리로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장단은 상애짓는 장기-도속잡는 장기-드러치는 장기로 마친다.
《왕당천수》의 형식은 선굿으로 주무는 고깔을 쓰고 흰 장삼을 입고 가사를 양 어깨에 매고 바라(재팔이)를 들고 불경인 천수경을 구송한다. 이때 조무는 장구(장기)를 세워서 무가를 구송하고 다른 조무는 징을 치면서 반주한다.
이 제차에서는 주무는 대접에 담은 물을 젓가락으로 찍어서 사방에 뿌리는데, 혼령을 청해 모시는 연유를 아뢰고 혼령을 깨끗이 정화하는 의식이다. 이런 의례의 형태는 황해도 굿의 천수치기와 흡사하다.
천수(天水)로 망자의 저승길의 평안함을 방해하는 모든 부정을 물리쳐서 큰 고초 없이 명부에 도착하도록 기원함과 동시에 굿청을 비롯한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부정도 함께 천수(天水)로 쫓아내는 의식이다. 이어서 주무는 바라를 치며 지장보살을 구송하며 춤을 춘다. 이때 춤사위는 영산재의 바라춤과 흡사하다.
《왕당천수》 거리는 망묵굿에서 처음으로 주무가 서서 하는 굿으로 바라를 들고 연풍을 도는 등 다양한 춤사위를 보인다. 춤을 춘 후 주무는 다시 장구 앞에 앉아서 무가사설을 구송한 후 다시 일어선다. 이때 조무는 장구를 세워서 치면서 지장보살 무가를 구송하고 주무는 바라를 치며 춤을 춘다.
장단은 천수장기(천수경)으로 이루어졌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주무는 평상복에 고깔을 쓰고 남색 쾌자를 입고 장구 앞에 앉아서 무가를 구연한다. 하지만 이경자는 흰 장삼에 고깔을 쓰고 장구를 세워 들고 서서 무가를 부르며 익살스러운 재담과 동작을 섞어서 굿을 하였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망묵굿에 등장하는 많은 서사무가로 인한 유족들의 지루함을 해소시켜 주기 위하여 재담을 섞어 굿을 한다고 하였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기 장기-전채질 장기-드러치기 장기로 마친다.
《신선굿》은 《왕당천수》 제차에 함께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왕당천수》 재차에 는《화정》만 존재하고 《신선굿》은 존재하지 않는다.
난선구성인(어려움을 당했을 때 도와주고 구제해 주는 아홉 분의 성인으로 추측), 지맹구성인(밝고 지혜로운 아홉 분의 성인으로 추측) 등의 성인을 비롯한 오방신. 간주 · 지정 · 조왕 · 오방신장 · 사해용왕 등의 신을 청하여 망자의 저승길이 평안하고, 유족의 집안에 복을 기원하는 무가를 노래한다.
난선구성인과 지맹구성인이 어떤 신격인지 정확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 않다. 인간에게 어려움을 극복하게 도와주고 밝은 지혜를 주는 아홉 명의 성인이 아닌가 한다.
《화청》의 형식은 선굿으로 주무는 흰 장삼을 쓰고 목에다 염주를 걸고 바라를 치면서 무가를 부르며 굿청을 돈다. 그 뒤를 조무와 망자의 유족들이 따른다. 주무는 망자의 의복과 소지품을 올려놓은 상 주위를 천천히 도는데 유족도 그 뒤를 따른다. 이 굿에서 구송하는 무가는 간단한 염불과 사십팔대원(四十八大願) 등이다.
망자의 저승길이 편안하고 무섭지 않기를 기원한다. 유족들이 간간히 인정(돈)을 망인의 의복과 소지품이 놓여 있는 상 위에 올려놓는다. 이 굿거리는 씻김굿의 희설과 같은 의례로 불가(佛家)의 화청(和淸)과 거의 유사한 의식이다.
장단은 화청장기(엇모리형장단-자유리듬)로 시작하여 마친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평상복에 남색 쾌자를 입고 장기(장구)를 치며 무가를 구송한다. 조무는 바라와 징을 치며 장단을 맞춘다.
이 굿거리에서는 지정대감, 신장대감, 산령대감, 호기대감, 조상대감, 삼재대감, 호기별상대감, 재수대감, 전장대감 등등 무속에서 등장하는 모든 대감신을 청해 들이고, 짐달언 장수의 설화가 담긴 무가를 구송한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는 장기-도속잡는 장기-드러치는 장기로 마치며, 춤은 예주게춤을 춘다.
대감신은 무속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형적인 재수굿에서 나타나는 재물신이다. 망묵굿은 망자를 위한 천도굿으로 이 굿에서 《대감굿》이 등장하는 것은 다시 한 번 망묵굿이 유족을 위한 재수굿과 망자 천도굿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자유 리듬의 장구 장단에 무가를 구송하다 점점 빨라지면서 엇모리 형식의 장단이 된다.
망자가 저승으로 끌려가는 도중에 여러 난관을 통과하면서 많은 어려움과 고초를 겪는데, 그럴 때마다 먼저 죽은 동년갑(同年甲)의 망령들이 나타나 처음 겪는 저승길의 어려움과 고초에 힘들어하고 지친 망자를 위로하고 도와주어 무사히 저승으로 인도한 동갑귀신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제차로 동갑망령들을 대접한다는 의미다.
저승 노정에서 도와준 망령들에게 술과 음식으로 대접하며 고마움을 전달하는 무가 사설을 부른다. 이는 타성풀이와 연관된 굿거리로 다른 지역의 천도굿에서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진도 씻김굿에 동갑풀이라는 제차가 있다.
씻김굿의 동갑풀이는 동갑들은 살아 있는데 혼자 먼저 죽어서 억울하다는 넋두리를 하는 제차로 망묵굿의 동갑접귀와 성격이 확연히 다르다.
인간이든 망자든 받은 은혜는 반드시 갚아야 한다는 교훈적인 제차로 타 지방 굿에서는 볼 수 없는 굿이다.
형식은 앉은굿과 선굿이 함께 나타난다. 주무는 고깔을 쓰고 녹색 쾌자를 입고 손에 바라를 들고 앉아서 무가를 구송하다 다시 일어서서 장단에 맞춰 춤을 추면서 무가를 구송한다. 이 제차에서는 <도랑선비 · 청정각시> 본풀이 무가가 구연된다.
<도랑>은 <도량>을 나타내는 말로 불가에서 부처나 보살이 머무는 곳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타불도량(彌陀佛道場) · 문수도량 · 보현도량 같은 장소를 말한다. 그러나 <도량>이 <도령(道靈)>이 와전된 말은 아닌지 깊은 의심을 가져봐야 한다. 서울 새남굿 역시 처음에는 <도랑돌기>라고 하였다가 한참 후 학자들에 의하여 망자의 길을 인도한다는 뜻으로 <도령돌기>로 명칭이 정정해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망자를 위로 하는 굿이다.
《짐가재굿》의 형식은 앉은굿으로 주무가 평상복에 고깔을 쓰고 장구 앞에 앉아 ‘짐가재’ 서사무가를 구송한다.
저승의 사령이 염라대왕을 이승까지 소환하는 이력이 있고 모든 사악한 것을 위협하는 힘이 있어 망자와 유가족에게 사악한 기운이 범접하지 못하도록 짐가재 무가사설을 구연한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기 장단-드러치기 장기로 마친다.
이 굿거리는 살(煞)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거리이다. 저승의 사령이 염라대왕을 이승으로 소환하여 망자와 유가족에게 사악한 기운이 범접하지 못하도록 기원하는 굿으로, 유족에게 다가오는 나쁜 기운을 막아 산 사람들이 흉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나쁜 살(煞)을 막는 거리이다.
보통 정월에 한 해 동안 들어올 수 있는 나쁜 기운을 풀어내는 살풀이를 많이 한다. 살(煞)은 산 사람에게 따라붙는 나쁜 기운이기 때문에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굿에서 살풀이가 등장한다는 것은 역시 망묵굿이 산 사람들을 위하여 초복축사(招福逐邪)의 기능이 지녔기 때문이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주무가 평상복을 입고 장구 앞에 앉아 바리데기 신화가 담긴 무가를 구연한다.
장단은 청배장기-드러치는 장기로 마친다. 이 제차에서는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굿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바리데기 신화는 서울 · 양주 · 충남 · 전남북 · 동해안 등 많은 곳에서 구연 되는 서사무가로 서술 내용이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버려졌던 딸이 온갖 고초와 죽음의 위협을 넘어 소생 약수를 길어다 죽은 아버지를 소생시킨다는 줄거리는 일치한다. 그런데 함흥 등지에서의 바리데기는 신으로 승화하는 것을 서술하지 않았다. 또 망자의 이승탈 저승탈을 벗기기 위한 굿거리로 되어 있어 다른 지역과는 기능면에서도 특이한 점을 가지고 있다.
형식은 앉은굿 형태로 주무가 평상복에 남색 쾌자를 입고 고깔을 쓰고 장구 앞에 앉아 <붉은선비와 영산각시> 설화가 담긴 서사무가를 구연한다.
장단은 자유 리듬으로, 장구를 치면서 메나리토리(山遊調 또는 산유화제(山有花制), 동부민요에서 나타나는 민요음계, 논매는 소리 『메나리』에서 따온 선법) 축원을 하면서 “덩덩덩 덩”친다.
이 제차는 팔도의 명산대천에 기도하여 망자의 사후(死後)에 편안함과 유족의 초복축사(招福逐邪)를 기원하는 굿거리이다. 망자가 묻힐 산천이 좋은 산 좋은 자리가 되도록 기원하는 망자를 위한 굿이기도 하지만 유족들 역시 명산대천의 신들께 건강과 행운을 비롯하여 집안의 번영을 기원하는 재수굿의 기능을 함께 띠고 있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시작하여 선굿으로 마친다. 주무가 홍치마에 남색 쾌자를 입고 장구 앞에 앉아 장구를 치며 무가를 노래한다. 서사무가가 끝이 나면 저승문 앞에서 녹색 장삼을 입고 바라를 치면서 춤을 춘다. 장단은 청배장기-상애짓기 장기-드러치기장기로 이어지며 춤을 출 때는 정적기 장단에 맞춰 춘다.
이 제차는 망자가 반드시 통과해야 할 저승문으로 편안하게 들어갈 있도록 저승길의 안녕을 기원하는 굿으로 망자 천도굿에 반드시 등장하는 저승문이다. 서울 새남굿 등에서 통과하기가 힘들고 어렵다는 의미로 가시문이라 한다. 망자가 무사히 이 문을 무사히 통과하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천도굿을 한다.
이 굿거리에서 <양산백과 축영대>의 설화가 담긴 서사무가를 노래한다. 제주의 무가 세경 본풀이에 나오는 자청비와 문도령의 관계가 양산백과 축 영대의 관계와 유사하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흰 장삼을 입고 고깔을 쓰고 장구 앞에 앉아서 망자가 저승으로 끌려가는 길에 사자에게 고초를 당하고 험난한 고비를 넘길 때마다 인정을 써서 어려운 난관을 넘기는 내용과 돈신(錢神)의 신화가 담긴 무가로 <궁상선배와 명월각시>의 설화가 담긴 서사무가를 노래한다.
장단은 도속잡는 장기-드러치는 장기-불림 장기로 마친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시작하여 선굿으로 마친다. 주무는 조상 몫으로 준비해 둔 옷을 들고 유족들의 조상을 한 분 한 분 몸에 실어 유족들에게 공수를 준 후 무명천이나 삼베를 찢어낸다.
조상 옷을 주무와 유족이 양 끝을 잡고 끝이 맞도록 옷을 접는다. 이어서 무명천과 삼베를 주무와 유족이 끝을 잡고 칼로 찢어내면서 유족들의 상문살을 벗겨낸다. 이러한 의식은 황해도 수왕굿에서도 나타나는데 망묵굿과 수왕굿 모두 망자를 천도하는 굿으로 유족을 위하여 상문살을 벗겨내는 행위이다.
이어 유족 중 한 명이 망령대를 잡고 망자의 혼을 몸에 빙의시켜 죽기 전 미처 하지 못한 말을 유족들에게 전하는 굿이다. 장단은 자유리듬으로 상황에 맞게 장구를 친다.
《조상굿》은 주무가 먼저 간 조상들의 혼령을 자기 몸에 빙의시켜 후손을 위하여 여러 가지 덕담과 앞으로 다가올 사건들을 예견하여 일러주는 굿이다. <중니갈기>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무명천이나 삼베를 주무와 유족이 잡고 칼로 찢어내면서 중북살(초상집에서 일을 보다가 나쁜 귀신에게서 입는다는 재액)을 예방하고 조상의 말을 전하는 굿이다. 주무는 미리 준비한 많은 조상 옷 중에서 주무의 몸에 빙의되는 조상에 해당되는 옷을 들고 조상의 넋두리를 풀어낸다. 그리고 조상 옷을 주무와 유족이 양쪽 끝을 잡고 옷을 접어서 끝이 맞으면 조상이 한을 풀고 돌아간다고 생각한다. 이 《조상굿》은 다른 지역의 천도굿에서 보이지 않는 굿으로 보통 재수굿에서 많이 나타나는 굿거리이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시작하여 선굿으로 마친다. 유족 중 한 사람이 앉아서 망령대를 잡고 망자의 혼을 몸에 빙의시키는 굿이다. 망자의 혼이 대잡이 몸에 실리면 죽기 전 미처 하지 못한 이야기를 유족들에게 넋두리로 풀어낸다. 망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굿거리로 유족들의 슬픔이 배가되는 굿이다. 대잡이 몸에 실린 유족의 슬픔과 회한을 위로 하기 위하여 즐겁게 춤을 추면서 남은 유족들에게 덕담과 당부를 한 후 떠난다. 장단은 상황에 맞게 자유리듬으로 장단을 친다.
형식은 선굿으로 주무가 일어서서 홍치마에 남색 쾌자를 입고 부채를 오른손에 들고 춤을 추다 이어서 방울을 왼손에 잡고 흔들면서 춤을 추다 공수를 준다. 다시 대신복을 겹쳐 입고 격렬하게 춤을 추다 망자가 왔음을 알리고 넋두리를 한 후 공수를 준다.
그리고 대신복을 벗고 북어를 왼손에 들고 생고기를 오른손에 들고 춤을 추면서 망자와 저승사자를 놀린다. 이후 공수를 주고 망자의 옷 등을 접어서 보내는데, 주무와 조무가 양 끝을 잡고 옷을 접을 때 그 끝이 딱 맞아야 된다. 장단은 일반적인 덩더쿵 장단으로 시작하여 마친다.
이 제차는 망자에게 면죄를 받고 그 내용이 판관록사사자(判官綠事使者)에게 전달되어 극락으로 갈 수 있음이 결정하는 거리다.
이 굿거리는 주무가 망자를 혼을 몸에 실어 구성지게 늘어놓는 넋두리의 능력이 중요시 되는 굿거리다.
또 수문장대감 · 서낭신 · 장군신 · 말명대신 등 신들을 청하여 망자의 저승길이 평안하게 극락을 가기를 기원하고, 아울러 유족들이 재수를 기원하는 굿으로 무가를 부르지 않고 주무는 고깔을 쓰고 장삼을 입고 춤만 춘다고 보고되었다.
북청군의 현지 보고에 따르면 무당이 상을 입에 물고 돌았다고 되어 있는 것은 동이부침이라고 판단된다.
서울 새남굿에 시왕군웅에 해당하는 굿거리로 추측된다.
형식은 선굿으로 흰 천을 길게 펴서 양 끝을 두 사람이 팽팽하게 잡고 흰 천 위에 망자의 의복이나 소지품을 올려놓고 주무가 베를 가르면서 망자가 무사히 열시왕 전을 지나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이때 유족들은 망자의 저승길 노자돈을 쓴다.
어느 지방의 천도굿이든 반드시 등장하는 베가름이다. 망자가 무사히 열 시왕 전을 지나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으로 전형적인 천도굿이다. 진도 씻김굿에서는 길닦음이라고 한다.
장단은 정적기장단-드러치기장으로 마친다.
형식은 앉은굿으로 시작하여 선굿으로 마친다. 망자의 옷을 장구 앞에 두고 천수경을 구송하면서 망자가 저승으로 편히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이어서 천수경이 끝나면 주무는 장구를 세워서 치면서 나무아미타불을 염송하고 그 뒤를 유족들이 망자의 옷을 들고 뒤따른다. 이어 지장보살을 구송하며 망자의 옷을 태우며 굿을 완전히 마친다.
장단은 자유리듬으로 상황에 맞게 친다.